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19년에 개봉한 영화 '기생충'은 '봉준호' 감독의 연출을 맡은 작품으로 찬만 관객을 돌파한 작품이다. 2019년 프랑스에서 열린 제72회 칸 영화제에서 한국영화로는 최초로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것을 시작으로, 국내 3대 영화제인 청룡여화상과 대종상 영화제, 백상예술대상에서 작품상, 감독상 등을 수상하면서 그의 위상을 드러내었습니다. 여기서는 영화 속 줄거리, 등장인물, 양극화의 예술적 표현을 각 소개하겠습니다.

    목차

    • 줄거리
    • 등장인물
    • 양극화의 예술적 표현

    기생충
    기생충

    줄거리

    '김기택'의 가족 충숙과 기우, 기정은 백수로 경제적으로 궁핍한 상태입니다. 주변 와이파이가 되는지가 하루 일과의 대소사인 이들은 좁은 반지하방에 살고 있습니다. 그래도 그나마 다해인 것은 가족애가 끈끈하다는 점입니다. 어느 날 기우와 막역한 사이인 민역은 자신이 맡고 있던 부잣집 딸의 과외 선생님으로 기우를 추천해 줘요 미술 전공을 한 동생 기정이가 오빠를 어떻게든 취업시켜 주기 위하여 명문대학교 문서위조를 하는 것을 도와주어서 부잣집 딸 과외선생님으로서 일을 하게 됩니다. 기우는 부잣집 엄마 연교를 꼬드겨 부잣집 막내아들의 미술선생님으로 기정을 소개해주는 환상의 콜라보를 펼치죠 부잣집의 맛을 본 이들은 임기응변 능력과 혼신의 연기력을 발휘하여 본래 근무하던 동익의 운전기사와 가정부를 쫓아내고 본인들의 아버지와 어머니를 각각 운전기사와 가정부로 들이는 데에 성공하게 되는데요 그렇게 지내오던 영화 기생충 등장인물들은 부잣집가족이 아들의 생일 기념이라고 집을 비우고 여행을 떠나게 되었는데, 이를 본 영화 '기생충' 등장인물의 가족들은 기다렸다는 듯이 부잣집 가족이 집을 나서자마자 바로 거실에 모여 본인의 집인 양 행세합니다. 그러던 중 박사장의 딸 생일 파티가 시작되고 지하방에 있던 근세가 탈출하면서 한 순간에 난장판이 되었다. 기택은 박사장을 칼로 죽게 하고, 근세는 기정을 죽이고, 그 와중에 기우는 수석으로 머리를 맞는다. 기우가 깨어났을 때는 이미 병원이었고 형사들은 수사 중이었다. 기택은 그곳에 없었다. 기우는 아빠 기택을 찾기 위해 박사장이 살았던 주택 근처 산에 올라가 그 집을 관찰한다. 밤이 되고 조명이 깜빡이며 모스부호가 날아온다. 기우는 기택이 보낸 모스부호를 받아 적는다. 그리고 자신의 아빠가 집 지하에 숨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리고 나중에 돈 벌어서 이 집을 사서 아빠를 만나러 간다고 하지만, 현실은 반지하가 나오면서 영화는 결말을 맞는다.

    등장인물

    반지하 가족 아빠 김기택, 엄마 박충, 아들 김기우, 딸 김기정과 부잣집 가족 아빠 박동익(박사장), 엄마 최연교, 딸 박다혜, 아들 박다송이 각 출연한다. 아들 김기우는 친구의 도움으로 부잣집 박사장 집안에 딸을 과외시키며 기생하게 되고, 오빠의 소개로 딸 김기정은 같은 집에서 미술선생으로 기생하고, 아버지와 어머니를 각각 운전기사와 가정부로 가족을 다 끌어들이며 기생하게 된다. 영화는 주인공 가족과 부잣집 가족들의 등장인물들을 통해 양극화를 극명하게 드러내고 있습니다.

    양극화의 예술적 표현

    기생충은 우리나라의 빈부격차를 제대로 보여주고 비판하면서도 깊이 있는 고민을 해볼 수 있는 영화입니다. 한국은 물론 세계적으로 대중과 평단을 사로잡은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손에 꼽히는 영화라서 그런가 보는 장면 하나하나가 영상미가 넘치고 또 대한민국에 전반으로 깔려있는 빈부격차라는 문제점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영화라서 더욱 의미가 있었어요 작품성과 상업성은 양립 가능하다는 선례가 되기도 했는데 평가가 높은 영화들은 대게 상업적으로는 흥행에 실패하는 경우들이 많은데 비해서 '기생충'은 평가만큼 상업적으로도 대성공을 합니다. 영화 구성에는 상류층과 하류층 계급차이를 잘 보여주기 위해서 계단이라는 장치적인 배경이 반복적으로 나오기도 하고 저택의 구조에서도 지하층이 나눠진 모습이 나오는 부분 부분 모든 게 반대적으로 배경이 나오면서 더욱 극과 극으로 보이게끔 설정이 되어있습니다. '기생충'이라는 영화 속에서는 철저한 계급 사회와 빈부격차의 양극화를 보여주는데요 박사장의 집과 기택의 집이 극명하게 대비되는 모습이 나오면서 늘 햇살을 받으면서 탁 트인 정원이 있는 박사장의 집과 취객이 소변을 보는 반 지하 기택의 집이 너무 선명하게 대비가 되는데 실제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를 그대로 닮은 모습이라 저는 보면서도 공감이 많이 되었어요 누구 하나 빠지지 않는 배우들의 빛나는 연기가 또 상을 받는데 큰 역할을 한 거 같아요 기우는 돈을 벌어서 그 저택을 사고야 만다는 상상을 하게 되지만 결말에서는 그저 상상에 불과한 이야기로 끝이 나게 되는데요 너무 진지하게 계층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나가지 않아서 더욱 많은 사람들이 보면서도 감탄하게 만드는 영화였던 것 같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