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광해군 당시 실존 인물을 빌려와 승정원일기에서 지워진 15일간의 빈 시간 사이 광해군으로 위장한 대역이 조선을 다스렸다고 가정한 픽션영화입니다. 사극영화 중 천만이 넘은 관객으로 임금 대역으로 신분 상승한 만담꾼, 배우 이병헌의 1인 2역, 영화반응 및 느낌을 소개하겠습니다. 무엇보다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펼쳐지는 영화이므로 역사를 좋아하는 관객이라면 적극 추천합니다.

    목차

    • 임금 대역으로 신분 상승한 만담꾼 
    • 배우 이병헌의 1인 2역
    • 영화 반응 및 느낌

    광해, 왕이 된 남자
    광해, 왕이 된 남자

    1. 임금 대역으로 신분 상승한 만담꾼

    왕위를 둘러싼 권력 다툼과 붕당정치로 혼란이 극에 달한 광해군 8년. 자신의 목숨을 노리는 자들에 대한 분노와 두려움으로 점점 난폭해져 가던 왕 광해(이병헌)는 도승지 허균(류승룡)에게 자신을 대신하여 위협에 노출될 대역을 찾을 것을 지시한다. 이에 허균은 기방의 취객들 사이에 걸쭉한 만담으로 인기를 끌던 하선(이병헌)을 발견한다. 왕과 똑같은 외모는 물론 타고난 재주와 말솜씨로 왕의 흉내도 완벽하게 내는 하선은 왕의 대역을 하게 된다. 허균의 지시하에 말투부터 걸음걸이, 국정을 다스리는 법까지, 함부로 입을 놀려서도 들켜서도 안 되는 위험천만한 왕 노릇을 시작한다. 하지만 예민하고 난폭했던 광해와는 달리 따뜻함과 인간미가 느껴지는 왕의 모습에 궁정이 조금씩 술렁이고, 왕의 대역이 아닌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다. 점점 왕의 대역이 아닌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는 하선의 모습에 허균도 당황하기 시작합니다. 진짜 왕이 쓰러지자 회복하는 동안 하선은 보름 동안 대역을 하게 된다. 도승지 허균이 시키는 대로 대동법을 다시 살릴 법안을 마련해 오라 하고 궁궐 공사를 즉각 중지하라고 말한다. 하선은 허균이 시키면 시키는 대로 했으나 대동법이 무엇인지 공부를 하고는 자기의 생각이 생기고 백성을 진심으로 생각하는 진짜 왕의 모습으로 변해간다. 하선은 대동법이 좋은 법이라 생각하는데 왜 1년도 시행치 않고 폐지했는지 궁금하다. 그건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니라 그냥 정치일 뿐이었다. 진짜 광해가 깨어나고 용상에 앉았던 천한 것을 살려둘 수 없으니 죽이라 명하는데, 도승지는 하선에게 도망가라 말한다. 내일 떠나기로 하고 마지막 정사를 보는데 신하들이 정치하는 것을 보니 화가 나는 하선이었다. 시대의 명분을 저버리고 오랑캐에게 손을 내민다는 신하에게 할 말하는 하선. 왕이 되고 싶은 하선이었지만 나 살자고 누군가 죽어야 하는 건 싫다고 말하고 떠난다. 왕의 모습을 한 번쯤은 꿈꿔봤던 하선이 홀로 배를 타고 떠남과 동시에 허균이 그를 향해 인사를 하고, 하선의 마지막 모습으로 영화는 마무리됩니다.

    2. 배우 이병헌의 1인 2역 

    이병헌은 1인 2역으로 광대인 하선과 임금 광해의 연기를 맡았으며, 임금으로서는 굉장히 무섭고 차가운 연기를 동시에 하선 역에서는 재밌고 유쾌하고 진실된 연기를 보여준다. 류승룡(허균)은 광해의 최측근인 도승지로 광해의 명을 받들어서 하선을 직접 찾아가서 임금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게 도와준다. 한효주(중전)는 광해의 중전 역할로 자신의 친오빠가 역적으로 몰려 죽을 위기에 처하게 되고 변해버린 임금에 대해 마음을 닫게 된다. 김인(도 부장)은 임금의 호위무사 역할로 임금에게 자기 목숨을 다 바쳐서 충성하고 따르는 인물이다. 심은경(사월이)은 안타까운 사연을 가지고 어쩔 수 없이 궁녀가 된 사월이를 가엽게 본 하선은 사월이를 잘 챙겨주고 도와준다. 사월이 때문에 하선은 정말 좋은 왕이 되고 싶어 하는 마음을 갖게 된다.

    3. 영화 반응 및 느낌

    2012년에 개봉한 사극 영화로 추창민 감독의 작품입니다. 대한민국 천만 영화 중에 한 작품으로 재미와 감동이 모두 있는 영화로 저 또한 너무 재미있게 봤던 영화입니다. 이 영화의 시대 배경은 광해군 8년으로 실화는 아니지만 실제 광해군 시절 조선왕조실록에서 사라진 15일간의 기록을 가지고 상상력을 발휘해서 써낸 이야기이다. 광해군이 자신의 목숨을 노리는 세력들이 많다는 걸 알게 되고 불안함을 견디지 못하고 임금과 똑같이 생긴 사람을 찾아서 대신 왕위에 앉혀놓는다는 이야기입니다. 광대 출신인 하선은 임금과 똑같이 생긴 얼굴을 가지고 있어서 당분간 왕의 자리에서 대역을 하게 된다. 처음에는 그냥 돈이나 몇 푼 벌고자 시작했던 일이지만 정말 왕의 마음으로서 백성들을 생각하고 백성들을 위해서 일하고 싶은 마음이 들면서 진심을 다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흠잡을 곳 없는 완벽한 사극영화라고 생각한다. 음식으로 비유하자면 마치 잘 차려진 한정식과 같았다. 영화의 메인 스토리, 소소한 코미디, 배우들의 연기 등이 '광해, 왕이 된 남자'라는 영화 속에서 자연스럽게 어우러졌다. 서양식과 달리 한식은 먹어도 속이 편안한 것처럼, 이 영화도 깔끔하고 편안하게 감상했습니다.

    반응형